[태그:] 이소룡

  • 1976년 9월~10월 대한민국 극장 우리들이 알고있는 주요 외화 상영작

    출처 : NAVER뉴스 라이브러리 1976년09월03일 조선일보 캡처
    • 원제: The Poseidon Adventure (1972, 20th Century Fox)
    • 감독: 로널드 님 (Ronald Neame)
    • 주연: 진 해크먼 · 어니스트 보그나인 · 레드 버튼스 · 셸리 윈터스
    • 수상: 1973년 제45회 아카데미 주제가상 및 특수촬영효과상 수상

    1976년 가을, 국제극장에서 다시 상영된 **《포세이돈 어드벤처(The Poseidon Adventure)》**는
    배가 뒤집히는 재난보다 더 큰 인간의 내면적 전복을 그린 영화였다.

    새해를 맞아 뉴욕에서 그리스로 향하던 호화 여객선 ‘포세이돈호’가
    항해 도중 거대한 해저 지진에 휘말려 순식간에 전복된다.
    객실은 천장이 바닥이 되고, 수백 명의 승객들이 암흑 속에 갇힌다.
    생존자들은 서로 협력하며 탈출구를 찾지만, 위기 속에서 인간의 이기심과 용기, 희생이 교차한다.
    진 해크먼이 연기한 스콧 신부는 남은 사람들을 이끌어 ‘위쪽’,
    즉 뒤집힌 선박의 바닥 방향으로 탈출을 시도한다.
    하지만 그 여정은 끝없는 절망과 선택의 연속이었다.

    가장 충격적인 순간은 단연 연회장이 한순간에 뒤집히는 장면이다.
    거대한 파도가 들이치며 샹들리에가 아래로 떨어지고,
    순식간에 천장이 바닥이 되는 비현실적인 혼란이 압도적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마지막, 스콧 신부가 밸브를 붙잡고 자신을 희생하는 장면
    절망 속에서도 인간이 지닌 숭고한 희망을 상징한다.
    불길 속에서 들려오는 그의 기도 —
    신이여, 제발 이들을 살려주소서!” — 는 지금도 강렬한 여운을 남긴다.

    이 영화는 한국에서 1974년 2월 국제·명보극장에서 최초 개봉된 이후,
    3년 뒤인 1976년 가을에 재상영 (“가을 명화 특별 감상회”) 형식으로 다시 걸렸다.

    이 재개봉은 당시 한국에서 ‘외화 명작 재상영 붐’이 일던 시기와 맞물려,
    재난영화 특유의 현장감과 대형 극장 사운드를 앞세운 홍보가 인상적이었다.

    출처 : NAVER 뉴스 라이브러리 1976년09월07일 조선일보 캡처

    🐉 맹룡과강 (The Way of the Dragon, 1972)

    구분내용
    감독 / 각본 / 무술 연출이소룡 (Bruce Lee)
    제작국가홍콩 / 골든하베스트 (Golden Harvest Production)
    개봉일(홍콩)1972년 12월 30일
    한국 개봉일1974년 10월 11일 (피카디리극장 최초 개봉)
    재개봉1976년 9월 4일 국도극장 (가을 명화 특별감상회)
    장르액션 / 무협 / 드라마
    상영시간약 100 분
    촬영지홍콩, 이탈리아 로마 (콜로세움 실촬영)
    제작사Concord Production Co. / Golden Harvest
    음악조셉 쿠(顧嘉煇 / Joseph Koo)
    주요 출연
    이소룡 (Bruce Lee) – 탕룽 (Tang Lung) 역
    노라 미아오 (Nora Miao) – 천 칭화 (Chen Ching Hua) 역
    척 노리스 (Chuck Norris) – 콜트 (Colt) 역
    로버트 월 (Robert Wall) – 썬 역
    황인시 (Hwang In-Sik) – 고용 폭력배 역 (특별 출연)

    중국 청년 탕룽(이소룡) 은 로마의 중국 식당을 돕기 위해 유럽으로 향한다.
    그러나 그곳은 현지 마피아의 위협에 시달리고 있었고, 탕룽은 이들을 상대로 맞선다.
    서툰 언어와 낯선 환경 속에서도 그는 점차 자신의 무술 실력을 드러낸다.
    결국 마피아의 최고 용병 콜트(척 노리스) 와 로마 콜로세움에서 운명의 결투를 벌인다.
    치열한 싸움 끝에 탕룽은 승리하지만, 쓰러진 적을 덮어주며 떠난다 — 무인의 존엄을 남긴 채.

    ⚔ 인상 깊은 장면

    • 콜로세움 결투
      이소룡과 척 노리스의 실전 같은 대결 장면은 영화사를 대표하는 명장면으로,
      단순한 액션이 아니라 무도(武道)의 철학이 담긴 장면이다.
    • 탕룽의 성장
      처음엔 순박하고 어색한 청년이었지만, 위기 속에서 한 인간이자 무인으로 완성되어 간다.
    • 엔딩의 여운
      “이긴 자의 비애” — 싸움에서 이겼지만 마음에 남은 것은 고요한 슬픔뿐이었다.

    🎬 전설은 스스로 만든다

    이소룡은 단 한 편의 영화에서 감독, 각본, 무술 연출을 모두 직접 맡았다.
    그 작품이 바로 《맹룡과강》이다.
    이 영화는 단순한 액션이 아니라, 무도(武道) 의 철학이 담긴 이소룡의 인생 선언문에 가깝다.


    🎥 로마, 그리고 전설이 된 무허가 촬영

    1972년 여름, 이소룡은 실제 로마 콜로세움 주변에서 무허가 촬영을 감행했다.
    허가를 받지 못했기에 팀은 경찰의 순찰 공백을 노려 새벽마다 촬영을 진행했고,
    그 결과는 영화사에 길이 남을 장면이 되었다.
    콜로세움의 고대 석벽 사이에서 펼쳐지는 동양 무술의 리듬은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이었다.


    ⚔ 세기의 대결 — 이소룡 vs 척 노리스

    《맹룡과강》의 백미는 단연 이소룡과 척 노리스의 결투 장면이다.
    대역도, 과장된 편집도 없다.
    두 무술가의 진짜 호흡과 기술, 그리고 무인의 존엄이 그대로 담겼다.
    이 장면은 지금도 “무술 영화 사상 가장 완성도 높은 리얼 격투씬”으로 평가받는다.


    🧘 철학 — 자신을 이기는 길

    이소룡은 영화 속 탕룽의 입을 빌려 말한다.

    “무술은 상대를 이기기 위함이 아니라, 자신을 이기는 길이다.”

    그의 주먹은 빠르지만, 그 안에는 분노가 아닌 깨달음이 있었다.
    《맹룡과강》은 승리보다 더 깊은 싸움,
    자신과의 싸움을 그린 영화다.


    1976년 9월, 국도극장에서 재개봉된 이 작품은
    이소룡 최대의 걸작! 로마를 뒤흔든 용의 발톱!”이라는 카피와 함께
    관객들의 가슴을 다시 불태웠다.
    50년이 지난 지금도, 그 용의 울음소리는 여전히 스크린 위에서 살아 숨쉰다.

    출처 : NAVER 뉴스 라이브러리 1976년10월27일 조선일보 캡처
    원제The Ten Commandments
    감독세실 B. 데밀 (Cecil B. DeMille)
    제작국가미국
    제작 / 배급Paramount Pictures
    개봉일(미국)1956년 10월 5일
    한국 재개봉일1976년 9월 4일 (서울극장)
    장르성서 드라마 / 서사극 / 역사
    상영시간약 220분
    주연찰턴 헤스턴(모세), 율 브리너(람세스 2세), 앤 백스터(네페르티리)

    고대 이집트, 노예로 태어난 히브리인 모세(찰턴 헤스턴)
    왕자로 자라지만, 자신이 억압받는 민족의 일원임을 깨닫는다.
    그는 이집트를 떠나 신의 부름을 받고,
    바로에게 맞서 히브리 민족을 해방시키는 사명을 맡게 된다.
    홍해가 갈라지고, 불기둥이 하늘을 가르며
    모세는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 십계(十誡) 를 돌판에 새긴다.

    인상 깊은 장면

    • 홍해의 기적
      모세가 지팡이를 들자 거대한 바다가 갈라지며 길이 열리는 장면은
      지금 봐도 감탄이 나올 만큼 웅장하다. 당시 기술로 구현한 이 장면은
      영화 특수효과의 역사에 길이 남았다.
    • 신과 인간의 대화
      신의 목소리가 하늘을 울리고, 모세가 계명을 새기는 장면은
      종교를 넘어 인간의 도덕적 각성을 상징한다.
    • 람세스와의 대결
      권력과 신앙, 인간의 오만함이 부딪히는 장면으로
      당시 할리우드의 대서사적 힘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 1976년 재개봉의 의미

    1970년대 중반, 외화 명화 재상영 붐이 일던 시기.
    〈포세이돈 어드벤처〉, 〈벤허〉와 함께 〈십계〉 역시
    다시 극장가를 찾으며 “고전의 감동을 되살린 특별 상영회”로 자리 잡았다.
    서울극장의 대형 스크린에 펼쳐진 홍해의 장면은
    당시 관객들에게 단순한 영화가 아닌 신앙적 체험이었다.

    “하나님이 주신 열 가지 계명”이라는 문구처럼
    〈십계〉는 단순한 성서 영화가 아니라, 인간의 정의와 도덕,
    그리고 믿음의 근원을 되짚는 불멸의 고전이다.

    1976년 9월, 서울극장에서 울려 퍼진 모세의 외침 —

    “Let my people go!”
    그 목소리는 지금도 세대를 넘어 울림을 준다.

    1976년 가을의 극장가는 단순히 ‘신작을 보는 곳’이 아니라, 과거의 명작을 다시 불러내고 관객과 재회하는 장(場)이 되었습니다.

  • 1976년 1월~2월 대한민국 극장 우리들이 알고있는 주요 외화 상영작

    1976년 1월~2월 대한민국 극장 우리들이 알고있는 주요 외화 상영작

    이소룡의 작품들이 대거 개봉됨

    출처 : NAVER 뉴스 라이브러리 1976년01월17일 조선일보 캡처

    이소룡의 정무문 입니다.

    제목: 정무문 (精武門 / Fist of Fury)

    📅 제작: 1972년 (홍콩) / 🇰🇷 한국 개봉: 1976년 1월

    🎬 감독: 나유(羅維, Lo Wei)

    ⭐ 주연: 이소룡 (Bruce Lee)

    🎯 장르: 액션 / 무협 / 복수극 / 드라마

    ⏱ 러닝타임: 약 106분

    20세기 초 상하이에서 스승의 죽음이 일본 무도관의 음모임을 알게 된 제자 진진이 복수를 결심하고 일본 도장을 습격해 모욕을 되갚고 관련자들을 하나씩 처단한다.
    끝내 경찰과 군경에 포위되지만 정무문과 조국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마지막까지 싸우는 내용입니다.

    홍콩에서 1972년 3월에 개봉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수입 절차 및 검열 이슈로 인해 1976년 1월에 개봉되었습니다.

    인상깊은 장면은 현판 부수는 장면과 단독으로 일본도장에 처들어가서 싸우는 장면, 그리고 총구를 향해 달려드는 마지막 장면입니다.

    출처 : NAVER 뉴스 라이브러리 1976년01월23일 조선일보 캡처

    이소룡의 용쟁호투입니다.

    🎥 제목: 용쟁호투 (龍爭虎鬪 / Enter the Dragon)

    📅 제작: 1973년 / 🇰🇷 한국 개봉: 1976년 1월

    🎬 감독: 로버트 클라우스 (Robert Clouse)

    ⭐ 주연: 이소룡 (Bruce Lee), 존 색슨, 짐 켈리

    🎯 장르: 액션 / 첩보 / 무술 / 드라마

    📍 의미: 이소룡의 첫 할리우드 합작 영화이자 전 세계를 사로잡은 최고의 무술 영화

    무술가 이소룡(리)은 마약 조직을 소탕하기 위해 비밀리에 무도 대회에 참가해서 대회 뒤에 숨은 거대 범죄 조직의 실체를 밝혀내고 조직원들과 치열한 싸움을 벌인다.
    끝내 두목을 쓰러뜨리고 정의를 실현하며 임무를 완수한다.

    마찬가지로 홍콩에는 1973년 7월에 개봉되었지만 70년대 초중반 한국은 외화 수입 심의가 엄격해서, 폭력성이 강하거나 선정적인 장면이 포함된 영화는 상영까지 수년이 걸렸습니다. 용쟁호투는 폭력성때문에 심의가 오래걸렸습니다.

    인상에 남는 장면은 최종 거울방에서의 전투와 쌍절권 액션 그리고 섬 도착후 첫번째 전투입니다.

    출처 : NAVER 뉴스 라이브러리 1976년01월30일 조선일보 캡처

    이소룡의 당산대형입니다.

    • 🎥 제목: 당산대형 (唐山大兄 / The Big Boss)
    • 📅 제작: 1971년 10월 (홍콩) / 🇰🇷 한국 개봉: 1975~1976년경
    • 🎬 감독: 나유(羅維, Lo Wei)
    • ⭐ 주연: 이소룡 (Bruce Lee)
    • 🎯 장르: 액션 / 드라마 / 복수극
    • 📍 의미: 이소룡의 첫 주연작이자 아시아 액션 영화의 신기원을 연 작품

    “착한 청년이 부패한 조직에 맞서 싸워 정의를 실현한다”는 단순한 구조지만, 이소룡의 폭발적인 에너지와 카리스마를 처음 세상에 각인시킨 전설적인 시작점입니다.

    홍콩에서는 1971년 10월에 개봉되었지만 한국의 심의가 강력해서 5년뒤에나 개봉되었습니다. 이소룡 사후 인기로 인해서 수입에 촉진역할을 했을것입니다.

    인상에 남는 장면은 어머니와 싸우지 않겠다던 약속을 참다못해 폭발하는 장면과 마약 조직의 아지트인 얼음 공장 결투 장면 그리고 클라이맥스인 조직의 수장과 펼치는 마지막 싸움입니다.

    이 작품을 통해 이소룡은 홍콩에서 국민 영웅으로 오르게 됩니다.

    출처 : NAVER 뉴스 라이브러리 1976년01월30일 조선일보 캡처

    폼페이 최후의 날

    • 🎥 제목: 폼페이 최후의 날 (Gli ultimi giorni di Pompei / The Last Days of Pompeii)
    • 📅 제작: 1959년 (이탈리아·서독 합작)
    • 📅 🇰🇷 한국 개봉: ✅ 1976년 1월
    • 🎬 감독: 마리오 보나르드 / 세르지오 레오네(조감독)
    • ⭐ 주연: 스티브 리브스, 크리스틴 카우프만
    • 🎯 장르: 역사 / 드라마 / 재난 / 로맨스
    • 📍 배경: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사라진 도시 폼페이

    1959년 이탈리아와 서독 합작 작품입니다.

    서기 79년, 로마 제국 도시 폼페이에서 검투사 글라우쿠스는 부모를 죽인 자에게 복수를 결심하고 귀족 여성 이오니아와 사랑에 빠진 그는 음모와 부패에 맞서 싸운다.
    그러나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며 도시가 멸망하고, 그는 사랑과 신념을 지키기 위해 마지막까지 분투한다는 내용입니다.

    인상깊은 장면은 50년대 영화지만 베수비오 화산의 웅장한 폭발 장면입니다. 미니어처와 실제 세트를 결합한 특수효과는 재난영화의 교과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50년대 작품이 한국에는 76년에 개봉되었을까?

    한국의 그때 당시의 외화 수입은 정부에서 허가해주는 방식이었으며 심의가 강력하고 (폭력, 성, 반정부내용) 수입쿼터제 때문에 뒤로 밀린 영화도 많았으나 1973년 이소룡의 사망이후 전세계적인 인기에 힘입어 한국 정부도 외화 수입 정책을 완화했습니다. 이 틈을 틈타서 과거 미뤄졌던 영화들이 1975년~1977년에 한꺼번에 수입 개봉되었지요.

    이소룡 영화뿐만 아니라 고전 명작(벤허 등), 재난 영화, 성서극, 서부극 등도 이시기에 대거 개봉했습니다.

    품페이 최후의 날도 재개봉 러시 속에 17년이 지난 시점에 한국에 개봉된것입니다.

    여기까지가 76년 1월부터 2월까지의 우리들이 흔히 알고 있는 주요 외화 상영작들입니다.

    그야말로 이소룡의 작품들이 밀려들어온 시기 였던거 같습니다.

    이소룡은 전 세계 영화계를 바꿔놓은 초대형 스타이며 한국의 76년1월은 이소룡의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1월이었습니다.